Extra Form

210720G1_2878(1).png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실리콘밸리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 송민승입니다. 삼성전자, 야후, 메타, 로블록스를 거쳐 왔고 갤럭시 노트, 야후 뉴스, 왓츠앱, 페이스북, 로블록스 등 50개 이상의 제품 및 서비스를 디자인해서 세상에 내놓았습니다. 가장 오래 근무했던 메타에서는 메세징 앱인 왓츠앱의 디자인 리드로서 보안, 개인정보 관련 기능과 비즈니스 결제 관련 디자인을 총괄했고, 페이스북의 대화형 쇼핑 기능을 디자인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제품들을 디자인해 왔기에 현재 전 세계 인구 3분의 1이 제가 디자인한 제품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Meta_lockup_positive primary_RGB(1).jpg

Meta_3.pngThe Bowl - MPK 21.jpg

 

 

 

최근 주목하고 있는 실리콘밸리의 디자인 트렌드, 이슈가 있다면?

실리콘밸리는 항상 매우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한두 가지 트렌드로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몇 년 전과 비교해 보안과 개인정보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진 것에 주목할 만합니다. 생성형 AI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공유할 것인지가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AI가 만들어내는 화려한 콘텐츠 앞에서 혹은 뒤에서 디자이너가 해야 할 일이 더 많아진 셈입니다. 디자이너는 이제 AI 기술을 활용하면서도 보안과 윤리적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하면서도 창의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디자이너의 해외 시장(실리콘밸리) 진출 전략이 궁금합니다.

한국인 디자이너의 실력은 이미 세계적입니다. 저 역시 한국에서 교육받았고, 지금 실리콘밸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가진 장점을 잘 나타내는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홍보한다면, 충분히 다른 해외 시장에서도 훌륭한 디자이너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K-디자인 어워드 같은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에 출품하고 수상을 한다면, 그 준비 과정을 통해 자신의 디자인 역량을 정리해 볼 수 있겠죠. 또한 포트폴리오를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에 해외 진출에 큰 도움이 됩니다. 글로벌 수상 경력은 국제적 인정을 받았다는 증거로 작용하여 미국 시장에서 취업이나 제품 판매 진출 시 신뢰도를 높이는 데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Meta_2.png

Meta_4.png

 

 

 

 

수년간 K-디자인 어워드 심사위원을 하면서, 디자인 시장의 변화를 느낀 것이 있다면?

전 세계에서 출품된 작품들을 살펴보다 보면,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가 전반적으로 상향 평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에만 신경 쓴 작품보다는, 왜 이러한 방향성을 가지고 결과물이 나왔는지 스토리를 표현한 작품이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대부분 좋은 점수를 받고 있죠.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일부 지역적인 특색이 강한 작품들을 제외하고는 디자이너의 국적을 특정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는 것입니다. 이는 글로벌 디자인 트렌드가 통합되고 있으며, 디자인의 언어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변화는 디자인 시장이 더욱 풍부해지고, 디자이너의 활발한 소통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심사 과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K-디자인 어워드의 심사 과정은 매우 공정하게 진행됩니다. 심사위원에게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고, 각자의 공간에서 각자의 시간에 심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개인적인 대화는 자연스럽게 배제된 상태에서 이루어집니다. 각 심사위원이 가진 객관적인 시각이 종합되어 수상 선정작이 결정되므로 매우 객관적이고 공정합니다. 덕분에 출품작들은 그들의 진정한 가치와 창의성을 공정하게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KDA의 심사 과정은 K-디자인 어워드의 신뢰성을 높이고, 디자이너들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심사 과정의 투명성은 참가자들에게 신뢰감을 주어 매년 더 많은 우수한 작품들이 출품되고 있습니다.

 

 

 7ade35cbc77079848d4fcfb7c79afc72.jpg

 

 

 

디자이너님의 심사기준은 무엇인가요?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 요소 몇 가지가 있습니다. 

 

1. 디자인의 당위성: 보여지는 결과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결과물이 나오기까지 적합한 프로세스를 거쳤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살핍니다. 디자인이 단순히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이 타당하고 논리적인지를 확인합니다. 

 

2. 디자인의 독창성과 대중성: 독창성과 대중성은 상충될 수 있지만, 이를 잘 조율해내는 것이 디자이너의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제품을 설득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얼마나 독창적으로 소비자를 설득하려고 노력했는지를 평가합니다.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대중의 호응을 모두 고려한 디자인이 높은 평가를 받게 되겠죠. 

 

3. 완성된 이야기: 작품의 설계부터 완성까지 흡입력 있는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지를 봅니다. 디자인은 시각적 요소를 넘어서 하나의 완성된 이야기를 전달해야 합니다. 짧은 시간 안에 작품의 가치를 설득시키려면, 이야기로 잘 풀어내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디자인의 목적, 과정, 그리고 최종 결과물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세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작품이 단순히 아름답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이야기와 과정, 독창성과 대중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심사할 것입니다. 디자인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하고, 공정하게 평가하려고 노력합니다.

 

 

 

KakaoTalk_20231018_184912640_12.jpg

< K-DESIGN AWARD >

 

 

 

이번 K-디자인 어워드에 출품하는 디자이너에게 추천사 부탁드립니다.

우리 디자이너들은 스스로 많은 것을 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진 재능을 남들에게 보여줄 기회를 잡는 것은 쉽지 않죠. K-디자인 어워드 출품 준비를 하면서 자신이 가진 장점을 정리해보고, 새로운 것을 배우며 성장할 수 있는 기회로 삼으셨으면 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작품을 타인에게 공유하고 평가받는 경험은 매우 소중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디자인 역량을 객관적으로 평가받고,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세요. KDA는 단순한 경연이 아니라, 디자이너로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도전의 장입니다. 독창성과 열정을 담은 작품을 통해 세계와 소통하며, 더욱 큰 무대에서 빛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번 어워드가 여러분의 커리어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기를 응원합니다.

 
 
 

 

 

 

< 출처 - 디자인소리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용도는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비상업적 용도의 경우, 출처(링크포함)를 밝힌 후, 내용의 변경없이 게재할 수 있습니다.


  1. in COLUMN

    AI 디자인 시대, 결국 오프라인이다!

  2. in DESIGNER

    루마니아 디자인의 선구자, 오비디우 흐린을 만나다

  3. in DESIGNER

    NASA, 화성을 시각화하다

  4. in DESIGNER

    대만 그래픽 디자인 협회장이 보는 디자인 산업 트렌드

  5. in DESIGNER

    세계로 진출하는 한국 디자이너의 실리콘밸리 이야기

  6. in DESIGNER

    디자이너에게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7. in NEWS

    디자이너와 AI의 공존, AI디자인혁신학회

  8. in DESIGNER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로 성장하는 법

  9. in DESIGNER

    K-디자인 어워드의 공정한 심사 시스템이란?

  10. in DESIGNER

    시장에서 이기는 디자인경영이란?

  11. in DESIGNER

    과연 어워드 수상작이 좋은 디자인일까?

  12. in DESIGNER

    가장 좋은 디자인을 하는 방법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