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감을 높여주는 CMF 디자인의 중요성,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심사위원 김선아 교수의 'CMF 디자인' 이야기
삼성이 소니를 이길 수 있었던 이유, CMF 디자인을 활용했기 때문이다. 좋은 디자인과 그렇지 못한 디자인은 한 끗 차이임을 CMF가 증명한다. 금오공과대학교 디자인공학 김선아 교수가 말하는 디자이너라면 알아야 할 CMF 디자인 전략!
CMF는 오감을 자극한다.
C 색상 M 소재 F 마감의 의미로, 통합적인 감각을 통해 제품의 고급감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사람들은 제품을 만져보고 싶어 한다. 그 감성을 자극하도록 CMF를 활용하는 것이다.
기업에 이익을 주는 CMF 디자인
CMF는 현장 중심형 디자인이라 기술 개발, 생산 공정, 원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생산 단가를 낮추거나 공정 과정을 줄이는 등 제품 양산 과정까지 고민해야 되므로 기업에 직접적 이익을 줄 수 있다.
삼성전자, CMF로 소니를 이겼다.
삼성전자에서 과거, TV 디자인을 할 때 ‘이중 사출’ 이라는 새로운 CMF를 TV에 적용했다. 두 가지 컬러를 한 가지 몰드에서 사출해서 원가 절감, 공정 과정 감소를 이뤄내 아름답고 가격 경쟁력도 있는 제품을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소니의 매출을 넘어선 계기가 되었다.
디자인 포트폴리오에 CMF를 활용하라.
포트폴리오에도 CMF 전략을 가져야 한다. 형태 디자인이나 포트폴리오를 단순히 보기 좋게만 만들지 말고, 색상, 소재, 마감을 어떤 식으로 사용했는지를 표현하면 경쟁력 있는 포트폴리오가 될 것이다.
< 출처 - 디자인소리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용도는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비상업적 용도의 경우, 출처(링크포함)를 밝힌 후, 내용의 변경없이 게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