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것을 디자인하는 서비스 디자인, 금오공과대학교 김선아 교수
제조업에서 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현재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비트코인은 어떻게 떴으며, IBM은 왜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서비스로 분야를 바꾸었는가. 김선아 교수가 알려주는 보이지 않는 디자인 이야기.
서비스 디자인이란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부분, 프로세스 자체를 디자인하는 활동이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서비스 산업이 급증했고, 산업 자체가 제조업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민간 영역과 공공 영역의 서비스 디자인
-민간 영역의 서비스 디자인은 UX/UI나 아이템을 비즈니스 모델화 시키는 서비스이다.
(에어비앤비, 카카오페이)
-공공 영역의 서비스 디자인은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정책에 활용한 것이다. 주민, 공무원, 디자이너가 협력해서 복지나 도시 재생 측면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를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다. 현재는 공공 서비스 디자인 분야 자체가 법령으로도 재정되어 있다.
(국민디자인단)
디자인 방법론을 습득해 역량을 강화하라
영국, 유럽에서는 서비스 디자인, 미국에서는 디자인 씽킹으로 얘기한다. 전자는 사회 문제 해결이나 공공적인 부문 쪽에 많이 쓰이고 후자는 공학이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곳에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구별된 언어지만 두 가지는 기조를 같이 하고 있다. 디자인이 진화하는 과정인 현재, 디자인 방법론들을 다양하게 공부해서 디자이너로서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 출처 - 디자인소리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용도는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비상업적 용도의 경우, 출처(링크포함)를 밝힌 후, 내용의 변경없이 게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