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대지 34 사본.jpg

 

저는 디자인 전문가이자 기업가, 그리고 교육자로서 창의성과 리더십을 바탕으로 다양한 경험을 쌓아왔습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예술 대학인 홍익대학교에서 디자인 경영학 교수로 활동하며, 동시에 글로벌 핸드백 및 액세서리 브랜드인 Ekatrina New York을 설립하고 18년 넘게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CLAB(리더십 및 브랜딩 센터)를 이끌며, 지난 20여 년간 창의성과 전략적 경영을 결합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혁신을 이끄는 디자인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또한, 2024 서울 패션위크의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하며, 다양한 문화와 경계를 넘나드는 비즈니스와 디자인의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CLAB에서는 각 브랜드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지적 재산(IP)을 창출과 디자인리더쉽 연구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캐시리 심사위원의 대표 작품 및 디자인 철학

디자인은 단순히 아름다운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닙니다. 저는 단순히 디자인하거나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에 그치지 않고, 디자인이라는 창의적 작업이 실제 비즈니스와 연결되고,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모든 과정을 이해하고 조율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유능한 디자인 전문가는 디자인 자체뿐만 아니라 기획, 마케팅, 생산, 그리고 비즈니스 경영까지 아우르는 전 과정을 깊이 이해해야 합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디자인이 단순한 결과물이 아닌,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솔루션으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디자인은 단순한 미적 만족을 넘어서, 명확한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는 강력한 도구여야 합니다. 특히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얻어진 결과물은 브랜드의 가치를 전달하고, 커뮤니티와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디자이너가 자신이 다루는 모든 작업에 대해 진정한 소유권을 가지고, 각 단계에서의 결정과 행동이 궁극적으로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분명히 이해해야 합니다.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우리의 커뮤니티와 세상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창의성과 전략적 통찰력을 겸비한 리더십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디자인 전문가들은 단순히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략적으로 설계된 솔루션을 통해 변화를 이끌어야 합니다. 이는 디자인 리더십이 단순한 결과물 제작을 넘어, 장기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는 역할을 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결론적으로, 우리 사회는 디자인을 통해 혁신과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전문가를 필요로 합니다. 이들은 창의력과 실행력을 바탕으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며, 디자인이 가진 진정한 힘을 보여줄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이러한 디자인 전문가들이야말로 우리의 커뮤니티와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주체가 될 것입니다.

 

 

 

96b7b76503c55d8aa55879ee6627791f.jpg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심사위원으로서 평가 기준은?

저는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심사위원으로서 단순히 뛰어난 디자인 결과물만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제 심사 기준은 경영과 디자인 전략을 통합하여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디자인 리더를 찾는 데 중점을 둡니다. 오늘날의 디자인은 단순한 미적 아름다움을 넘어, 실질적인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고,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화하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이러한 디자인은 단기적인 성공에 머무르지 않고, 지속 가능성과 미래 지향적인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저는 디자인이 해결해야 할 현재의 과제에 집중하면서도, 동시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의 비즈니스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합니다. 이는 디자인 리더가 단순히 문제 해결자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 기존의 틀을 벗어나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사람인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단순히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을 넘어, 경영과 디자인 전략을 통합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경영적 관점에서 디자인은 시장의 요구와 트렌드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행 가능한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반면, 디자인적 관점에서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문제를 새롭게 정의하고,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방식으로 이를 구현해야 합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조화롭게 결합될 때 비로소 진정한 혁신과 지속 가능성이 담긴 솔루션이 탄생합니다. 또한, 디자인 리더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미래의 잠재적인 도전 과제와 기회를 예측하며 이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문제를 정의하는 능력입니다. 훌륭한 디자인 리더는 문제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즈니스와 사회에 실질적인 가치를 더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는 단순히 작품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자리가 아니라, 디자인이 사회와 비즈니스에 가져다줄 가능성을 탐구하고, 이러한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어낼 수 있는 리더를 발굴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저는 이 상을 통해 창의성과 전략적 사고를 겸비한 디자인 리더들이 더 많은 기회를 얻고, 그들의 역량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길 바랍니다. 이러한 디자인 리더들이야말로 현재와 미래의 변화를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c142c7e6898cd41e1e279adfe1924ee3.jpg

c4ddf8ce95f44786e953dea1df15db25.jpg

24b3ab93a37c2b8531b7d139fb3cf4cc.jpg

<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4 그랜드 프라이즈 수상작 - POWER 8 LIGHTING SHOWROOM >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수상작 중 가장 인상 깊은 작품은?  

이 작품은 조명의 자연적 특성을 활용하여 개인 공간과 사적 공간을 구분하는 기능을 보여줍니다. 조명의 다양한 밝기와 공간적 차원을 통해 환경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빛과 공간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분위기를 정의할 수 있는지 간결하면서도 우아하게 보여줍니다. 디자이너는 이 작품에 진정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구축하고 미래의 비즈니스 혁신을 이끌어낼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ockup_poster_01.jpg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추천사 부탁드립니다.

2025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게 되어 매우 영광입니다. 우리의 미래는 자신의 작업에 진정한 소유권을 가지고, 경영과 디자인 전략을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창출하는 데 달려 있다고 믿습니다. 이처럼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시아 디자인 리더십 커뮤니티의 일원이 된 것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열정과 창의력을 보여줄 수 있는 이 특별한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지금 바로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에 출품하여, 여러분의 디자인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오직 공정한 심사!

FAIR REVIEWS ONLY!

 

 

 


디자인소리 에디터 김보아 (sori@designsori.com)


 

 

 

< 출처 - 디자인소리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용도는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비상업적 용도의 경우, 출처(링크포함)를 밝힌 후, 내용의 변경없이 게재할 수 있습니다.


  1. in DESIGNER

    디자인 스토리텔링의 힘, 대만 아틀리에 옌안

  2. in DESIGNER

    공간의 감정을 디자인하는 홍콩 데코 파머 스튜디오

  3. in JURY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CLAB 캐시리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4.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VB스튜디오 김철휘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5.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브랜딩 거장 전우성 대표 영입으로 새로운 도약

  6. in JURY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샤크닌자 이규섭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7. in DESIGNER

    전체론적 관점으로 디자인의 경계를 허무는 안앤파트너스

  8. in JURY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프리젠트 강범규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