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GRAND PRIZE_MOJ Coffee_4.jpg

 

 

 

중국 윈저우 Zeya의 깊은 산속에 숨겨진 독특한 카페, MOJ Coffee가 2024년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에서 '그랜드 프라이즈'를 수상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카페는 원래 농업 시설로 사용되던 벽돌과 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건물은 방수 및 지붕 상태가 불량하고 자연 채광이 부족한 등 많은 단점을 지니고 있었지만, 1,000에이커(120만평)의 넓은 논과, 주변의 대나무 숲 자연 경관을 배경으로 하는 장점이 이를 상쇄했다. Thinking Design은 기존 건물을 철거하는 대신 리모델링하여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었다. 

 

건축물의 지붕을 평지붕, 사각지붕, 박공지붕으로 개조하여 자연 환기를 촉진하고, 단열 기능을 갖추게 했다. 삼각형 형태의 박공지붕은 도로 반대쪽으로 뻗어있어 건물이 마치 도로에 의해 두 부분으로 절단된 것처럼 시각적으로 건물을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또한, 신축 부분의 지붕은 녹색 식물로 덮어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고, 건물이 주변 경관 속에서 사라지게 만들었다. 내부에서는 바닥에서 천장까지 이어지는 대형 유리창을 통해 외부와의 경계를 허물고, 야외의 논과 숲을 파노라마로 볼 수 있다. 이 실내디자인으로 인해 방문객들은 자연을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다.

 

 

 

GRAND PRIZE_MOJ Coffee_1.jpg

MOJ Coffee >

 

 

 

이러한 혁신적 디자인 방식은 건축물이 그 주변 자연과 어우러져 지속 가능성과 환경적 조화를 추구하는 Thinking Design의 노력을 인정받게 했다.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의 심사위원은 특히 기존의 경관과 건축물을 활용한 리노베이션 방식과 실내외 공간의 통합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자연과의 깊은 연결을 경험하게 만든 점을 높이 평가했다. MOJ Coffee는 이러한 디자인으로 인해 단순한 카페를 넘어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지속 가능한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출처 - 디자인소리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용도는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비상업적 용도의 경우, 출처(링크포함)를 밝힌 후, 내용의 변경없이 게재할 수 있습니다.


  1. in JURY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프리젠트 강범규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2. in JURY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미니소 디자인센터 박성호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3. in DESIGNER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AI 디자인: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트가 버틀러를 선택한 이유

  4.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시싸이드시티 전우성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5. in JURY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비포브랜드 최예나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6. in DESIGNER

    오직 인간 중심 디자인, 대만 오비오 스튜디오

  7. in DESIGNER

    쇼헤이 오타니의 유니폼을 만든 지더블유지의 이기는 디자인

  8. in JURY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한양대학교 최종우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9. in JURY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5> 폰트릭스 박용락 심사위원의 평가 기준은?

  10. in DESIGNER

    디자인으로 대만을 사로잡다, 스퀘어미터 스튜디오

  11. in DESIGNER

    디자인에 과학 한 스푼, 대만 '둔위에 디자인(Dunyue Design)'

  12. in WINNER

    1cm도 놓치지 않는 대만 그레이 게이트 인테리어 디자인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17 Next
/ 17